안녕하세요. 워크앳로터스입니다.
제대로 집에서 엔터테인먼트를 즐길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뭐가 필요하냐구요? 그래요. 오늘은 필요한 준비물들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지고 다음 시리즈로 사용하는 방법들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필립스 휴 브랜드 하나만 기억하세요.
IT 기기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스마트 조명으로 필립스 휴 브랜드를 접하게 되었고, 지금도 집에는 필립스 휴 스마트 전구가 거실, 주방, 침실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필립스 휴 브랜드 제품 중 스마트 홈을 위한 그중에서도 스마트 홈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몇 가지 신기한 제품들을 만나보려고 합니다.
서론 : 스마트 조명에 대한 짧은 공부!
사물 인터넷(IoT), 홈오토메이션 그리고 스마트 홈이라고 불리는 영역에서 가장 기본이 되고 입문하기 쉬운 분야가 스마트 조명이죠. 쉽게 말하면 스마트 전구를 사용하는 겁니다. 필립스 휴 브랜드에 스마트 전구를 구입하고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한 후 연결하여 조작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여기서 조금 더 나아가면 그냥 전구 하나만 사용하는 게 아니라 여러 개의 스마트 전구와 또 다른 스마트 기기들을 통합 관리가 가능하도록 중간에 기기를 하나 두는 겁니다. 필립스 휴 브릿지 같은 걸 말입니다. 이렇게 하면 휴 브릿지가 모든 기기들의 연결 중심이 되고 스마트폰에 앱을 이용하여 휴 브릿지에 연결한 후 보다 더 많은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거죠. 여기까진 저도 이미 경험을 하였습니다.
혹시 필립스 휴 스마트 전구에 대한 정보와 휴 브릿지 연결을 이용한 관리 그리고 구글 어시스턴트, 아마존 알렉사를 이용한 사용 등에 대하여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 눌러서 잠시 살펴보고 오셔도 좋습니다.
필립스 휴(HUE) 4.0 화이트 엠비언스 스마트 전구로 식탁 조명을 꾸며 보았습니다.
오늘은 스마트 전구를 이용한 식탁 조명을 설치하는 내용으로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테리어 관점보다...
필립스 휴(HUE) 4.0 화이트 엠비언스 스마트 전구로 식탁 조명을 꾸며 보았습니다.
오늘은 스마트 전구를 이용한 식탁 조명을 설치하는 내용으로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테리어 관점보다...
blog.naver.com
근데, 필립스 휴 브랜드는 여기서 끝나지 않더군요. 스마트 홈 엔터테인먼트를 표방하면서 최근 필립스에서 휴 플레이와 휴 싱크박스라는 제품을 출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홈 시네마, 콘솔 게임 그리고 음악 감상에 더욱더 몰입할 수 있는 그런 환경을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운좋게 인연이 닿아서 아래 체험단에 당첨되었고 이렇게 들여와서 오늘 하나씩 제품에 대한 개봉부터 진행하려고 합니다.
[이벤트] 휴 싱크 박스 출시 기념! #광덕이를찾아라 체험단 모집
[이벤트] 휴 싱크박스 출시 기념! #광덕이를찾아라 체험단 모집
1일 1영화 실천하시는 분, 집에서 하루 종일 콘솔게임 하시는 분, 최애 가수와 매일 방구석 콘서트 여시는 분 모두 주목해주세요! 우리 집 완벽한 엔터테인먼트 공간을 만들어줄 휴 싱크박스가 출시되었습니다.…
[이벤트] 휴 싱크박스 출시 기념! #광덕이를찾아라 체험단 모집
1일 1영화 실천하시는 분, 집에서 하루 종일 콘솔게임 하시는 분, 최애 가수와 매일 방구석 콘서트 여시는 분 모두 주목해주세요! 우리 집 완벽한 엔터테인먼트 공간을 만들어줄 휴 싱크박스가
blog.signifykorea.com
본론 : 오늘은 개봉만 할 겁니다.
필립스 휴 싱크박스 출시 기념으로 #광덕이를찾아라 이벤트를 진행하고 이렇게 들여온 택배 박스에는 휴 싱크박스 뿐만 아니라 휴 플레이 그리고 휴 브릿지까지 총 3개의 제품 박스가 들어있더군요. 왠지 박스가 크다 했습니다. 오늘은 제품별로 개봉만 하고 직접 연결하고 사용하는 모습은 따로 올릴게요.
★ 필립스 휴 브릿지
먼저 제일 위에 있는 조그만 박스는 필립스 휴 브릿지라는 제품으로 필립스 스마트 조명 여러 개를 통합하여 중앙에서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즉 스마트폰에서 필립스 휴 앱을 설치하고 휴 브릿지에 연결한 후 관리되고 있는 스마트 조명들을 개별, 그룹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전 이미 집에 휴 브릿지와 함께 3개의 필립스 스마트 조명을 연결하여 사용 중에 있기에 요건 그냥 넣어둘게요. 이미 사용하고 있는 휴 브릿지와 함께 나머지 휴 플레이, 휴 싱크박스 제품들을 연결할 겁니다. 설정 및 조작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사용기에서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필립스 휴 플레이
필립스 휴 플레이는 지난해 11월 출시가 되었네요. 요건 스마트 조명의 일종으로 홈 엔터테인먼트를 위하여 화려함을 담당하는 역할을 합니다. 필립스 휴 플레이 역시 스마트 조명이기 때문에 휴 브릿지에 연결되어 관리가 되는 겁니다. 정식 명칭은 휴 플레이 라이트 바(Play light bar) 군요.
패키징 디자인에서 이미 휴 플레이 제품에 대한 디자인은 충분히 확인할 수 있겠네요. 심플하니 바(bar) 형태로 만들어져있고 화이트와 컬러 앰비언스 색상으로 1600만 컬러가 가능하다고 하네요.
패키징 바닥면에 구체적인 활용 방법과 구성품 등 제품에 대한 세부 사양까지 표시하고 있습니다.
★ 컴팩트한 디자인, 완벽한 조명 경험
★ 필립스 휴 브릿지를 이용한 조명 제어
★ 1600만 가지 색상 적용 가능
★ 영화, 게임 및 음악과 조명 동기화
★ 휴 호환 기기에서만 디밍 기능
★ TV 뒤에 쉽게 장착 가능
내부 구성품을 확인하려고 개봉을 하는데... 안쪽 면에도 요렇게 TV와 함께 홈 시네마 환경을, 모니터와 함께 PC방 환경으로 활용하는 모습에 대하여 안내를 하고 있습니다. 이미 유명 테크 유튜버 분들의 소개 영상에서 많이 접했던 방구석 PC방 환경을 꾸미는 모습에서 휴 플레이를 많이 활용하더라고요.
짜란~~~~~~! 개봉을 하면 요렇게 나란히 누워있는 바(bar) 형태의 조명이 저를 반기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했던 거 보다 작은 사이즈입니다. 대략 길이는 25cm 정도이고 4cm 전/후의 두께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스마트 조명은 익숙한 편인데... 요건 그래도 또 처음 접하는 거니까... 사용기 작성하기 전에 꼼꼼하게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래도 리뷰어 입장에서 그냥 넘어갈 순 없겠죠. 중요한 사항이나 주의할 사항은 제가 미리 알려드릴게요.
▶ 내부 구성품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위에 보이는 게 다가 아니네요. 박스 안쪽에 더 있나 봅니다.
▶ TV 주변에 눕혀서, 세워서 거치가 가능하고 TV 뒷면에 부착 방식으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 좀 더 구체적으로 거치하는 방식에 대하여 텍스트 없이 그림으로만 설명을 하네요.
▶ 스탠드형 거치대를 조명과 함께 고정하는 방법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 마지막 X 표시는 스탠드형 거치대를 장착하고 TV 뒤편에 연결할 때 세로로 길게 눕협서 사용하지 말라는 의미로 보면 되겠습니다. 요것만 주의하시면 되겠네요.
6페이지 뒤로도 더 설명이 있긴 한데... 일단 저는 스탠드형 거치 방식으로 사용할 생각이라 계속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TV 뒷면에 부착 방식으로 사용하실 분들은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라이트 바(Light Bar) 디자인으로 플라스틱 재질 안쪽에 LED가 장착되어 있는 방식이네요. 기존 스마트 전구랑 비슷한 방식인데 디자인만 차이가 있어 보입니다.
빛을 비추는 전면은 플라스틱 재질이고 나머지 뒷면은 실리콘 재질로 부드러운 손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거치대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구멍 2군데 보이시죠. 여기를 이용하여 스탠드형 거치대랑 부착을 위한 마운팅 클립을 나사로 연결하는 방식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렇군요. 박스 안쪽으로 나머지 구성품이 모두 들어있습니다. 상당히 꼼꼼하게 패키징을 하면서 공간 활용을 잘했네요. 왼쪽 동그란 건 TV 뒷면에 부착하기 위한 마운팅 클립이고 오른쪽 동그란 건 스탠드형 거치대입니다. 당연히 라이트 바(Light Bar)가 두 개니깐... 두 개씩... 그리고 가운데 전원 공급을 위한 어댑터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전원 어댑터랑 플러그는 탈부착형으로 각 나라별 표준에 따라 쉽게 바꿀 수 있도록 한 거 같습니다. 근데, 돼지코 방식의 플러그만 있네요. 그럼 의미가 없는데... 일자형이나 삼각형 모양의 플러그들은 안 보이네요. 보통은 다른 나라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플러그를 제공하던데... 뭐, 일단 저는 국내에서 사용할 거니깐... 돼지코만 있으면 됩니다.
위에는 스탠드형 거치대 그리고 아래는 마운팅 클립으로 전면/후면 모습을 한꺼번에 보여드립니다.
혹시 TV 뒷면에 부착형 방식으로 사용하실 분들은 요거 3M 양면테이프도 꼭 챙기셔야 합니다. 그리고 그 옆에 고정을 위한 나사와 도구가 보이네요.
나사 구멍과 마운팅 클립의 구멍을 맞춰서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되겠죠. 별도의 드라이버나 도구를 챙기지 않아도 되고 동봉된 도구만으로 조립이 가능하니 편하긴 하겠습니다.
그리고 마무리는 요렇게 부착을 위한 3M 양면테이프를 마운팅 클립 바닥면에 위치를 맞춰서 부착!
그리고 스탠드형 거치대를 사용할 경우는 눕혀서 할 수도 있지만... 저는 세워서 거치를 하려고 합니다. 그러려면 죠기 보이는 라이트 바(Light Bar)의 아래쪽 끝부분에 있는 나사 구멍에 맞춰서 고정하셔야 합니다.
요렇게 말입니다. 스탠드 거치대 구멍에 나사를 삽입하고 도구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끝!
케이블이 물려서 움직이기 힘들까 조금 걱정을 하였는데... 상당히 디테일에 신경을 쓴 디자인이군요. 안정적으로 스탠드 거치대를 고정했음에도 정확하게 케이블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확보가 되도록 디자인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동일한 방식으로 2개의 휴 플레이 라이트 바(Light Bar)를 모두 스탠드 거치대와 연결하여 조립을 완료하였습니다. OK. 좋아요. 일단 조립한 휴 플레이 라이트 바는 옆으로 치워두고 개봉 계속 진행할게요.
★ 필립스 휴 싱크박스
요게 바로 오늘의 주인공이죠. 필립스 휴 싱크박스 제품입니다. 패키징 박스 크기는 좀 전 휴 플레이 패키징과 비슷합니다. 패키징 디자인 역시 비슷한 느낌으로 다가오네요.
전면과 상단에는 제품의 이름을 제외한 그 어떤 텍스트도 포함하지 않고 휴 싱크박스 제품 디자인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아~~~~ 요것도 정확한 명칭은 HDMI 싱크박스(Sync Box)인가 봅니다.
패키징 측면에도 간단하게 제품 디자인과 함께 주요 특징 및 세부 사양 정보를 표시하고 있네요.
패키징 바닥면에 휴 싱크박스를 활용하는 모습과 구성품 그리고 주요 기능을 다시 강조하고 있네요.
★ 필립스 휴 조명을 TV에 동기화 시키세요.
★ 빠르고 최적화된 조명 경험
★ 어떠한 휴 컬러 조명과도 잘 작동합니다.
★ 맞춤형 엔터테인먼트를 경험해 보세요.
★ 간단한 설치, 설정 및 사용
★ 최대 4개의 HDMI 장치 연결 가능
★ 필립스 휴 브릿지가 필요함
옆에서 붙잡고 위로 들어 올리면서 개봉하는 방식입니다. 여기는 안쪽 면에 필립스 휴 로고만이...
오홀... 패키징 방식이 독특하네요. 사용자 설명서와 함께 가운데 휴 싱크박스 본체가 보입니다. 대략 가로 18.2cm, 세로 9.9cm 그리고 높이는 2.3cm 정도 됩니다. 생각보다 작은 사이즈입니다.
나머지 구성품은 어디 있지? 하면서 휴 싱크박스 본체를 들어 올리면... 요렇게 케이블과 전원 공급을 위한 어댑터까지 숨어 있네요.
대체로 사용자 설명서 내용은 심플하게 작성을 하였네요. 그래도 휴 플레이 제품보다 텍스트가 좀 더 포함되어 있습니다. 구성품도 확인하고 필립스 휴 브릿지 제품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는 거 확인 완료!
간단하게 연결하는 기기들에 대해서도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이미 예습을 통하여 대략적인 연결 방식은 머릿속에 담아두고 있습니다. 근데, 오른쪽에 3번 항목에 설명이 잘 이해가 되질 않네요. USB 단자가 있는데 여기를 통해서 전원을 공급할 수는 없다고 합니다. 그럼 무슨 용도의 USB 단자인지? 요건 사용기에서 직접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음... 그리고 요건 필립스 휴 싱크(Hue Sync)라는 모바일 앱을 따로 설치해서 관리를 하나 봅니다. 필립스 휴 브릿지를 위한 앱이 있고, 휴 싱크박스를 위한 별도 앱이 또 있나 보네요. OK. 접수 완료!
휴 싱크박스 디자인을 좀 더 살펴보도록 할게요. 그냥 매트한 블랙 색상으로 화려하지 않으면서도 고급스러운 느낌을 전달하는 디자인입니다. 상단 가운데 휴(Hue) 로고만이 똬~~~~~아~
기다란 측면에는 필립스 이름만... 그 옆에는 LED 인디케이터랑 전원 버튼인 거 같습니다.
그리고 반대편 기다란 측면에는 왼쪽부터 입력을 위한 HDMI 단자가 4개 그리고 출력을 위한 HDMI 단자가 1개 제공되며 그 옆에 있네요. USB라고 적혀있는 단자가 있습니다. 궁금하지만... 일단 넘어갑니다. 사용기에서 확인하려고요. 그리고 마지막에는 전원 연결 단자가 있습니다.
바닥은 미끄럼 방지를 위한 고무 재질로 상당히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해 보입니다. 디자인 볼 게 없어요. 이게 다입니다. 상당히 심플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느낌이라는 것만 기억하세요.
기본 제공되는 케이블은 HDMI to HDMI 케이블이군요. 그럼 요걸 출력을 위한 HDMI 단자에 연결하고 반대쪽은 TV의 HDMI 단자에 연결하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소스를 공급하는 기기들은 입력을 우한 4개의 HDMI 단자에 연결하면 되겠네요.
전원 공급을 위한 어댑터는 휴 플레이 제품에 그것과 거의 동일한 모습입니다. 케이블은 분리형이고요.
근데, 뭔가 이상합니다. 동일한 플러그 탈부착 방식의 어댑터가 맞긴 한데... 플러그가 없어요. 뭔가 구성품이 빠진 게 아닌지? 하는 생각이 드네요. 그럴 리가 없다고 다시 생각을 고쳐먹고... 뒤져 봅니다.
오홀... 요런 신박한 패키징을... 정말 공간 활용을 잘 하고 있습니다. 여기 아래쪽에 하얀색 박스 보이시나요? 죠기 위치하고 있을 거라고는 생각도 못 했습니다.
그래요. 이래야 합니다. 아까 휴 플레이 개봉하면서 전원 어댑터와 플러그 보면서 뭔가 이상하다고 했잖아요. 바로 이겁니다. 플러그 탈부착 방식을 적용하였다면... 이렇게 돼지코, 일자형, 삼각형 모양 등 다양한 나라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각종 플러그를 제공하는 게 맞지요. ㅎㅎ 저는 국내에서 사용할 거니깐... 돼지코를 꺼내서 결합해 줍니다.
결론 : 연결 방법에 대하여 살펴볼게요.
오늘은 요렇게 휴 플레이 제품과 휴 싱크박스 제품 두 가지를 중심으로 개봉하면서 디자인과 주요 특징들을 살펴보았고, 이제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 연결하는 작업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물론 이 부분은 사용기로 따로 찾아뵙도록 하겠고요. 대략적인 연결을 위한 방법에 대하여 공부를 좀 하고 시작할게요.
지금 머릿속에 떠오르는 생각은 필립스 휴 브릿지에 휴 플레이 조명을 연결하여 휴 브릿지를 통한 관리가 가능해지도록 하고 휴 싱크박스 역시 동일한 네트워크 망에 물려서 휴 브릿지에 연결된 스마트 조명 기기 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면 될 거 같습니다. 그 이후에는 휴 싱크박스에 입력으로 게임 콘솔과 다양한 스트리밍 장치를 연결하고 출력으로는 TV나 모니터에 연결하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그럼 궁극적으로 원하는 영화, 콘솔 게임, 뮤직비디오 등 다양한 입력 소스의 내용에 따라 연결된 필립스 휴 플레이 조명이 동기화되는 신기한 경험이 가능해질 거라 봅니다. 좀 더 공부하고 연결 작업을 완료해서 사용기에 자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필립스 휴 싱크박스 체험단에 응모하여 제품을 무상으로 지원받았으며 주관적인 사용 경험을 바탕으로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고 있습니다.
원본 콘텐츠는 아래 이미지 링크를 클릭하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개봉기] 스마트 홈 엔터테인먼트가 뭐야? 필립스 휴 싱크박스를 만나보세요.
IT 기기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스마트 조명으로 필립스 휴 브랜드를 접하게 되었고, 지금도 집에는 필립스...
blog.naver.com
'소소한 IT 기기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기] 필립스 휴 싱크박스와 함께 온 가족이 즐기는 홈 시네마 환경을 소개합니다. (0) | 2021.02.19 |
---|---|
2016년 또는 2017년 모델의 MacBook Pro 배터리가 1% 넘게 충전되지 않는 (0) | 2021.02.19 |
2021년 새해에 생각지도 못한 선물, 삼성 갤럭시 버즈 라이브 개봉 시작합니다. (0) | 2021.02.19 |
JBL 클럽 프로 플러스 프리미엄 ANC 무선 이어폰까지 경험하게 되었습니다. (0) | 2021.02.19 |
키크론 K3 - 맥에 잘 어울리는 초슬림, 초경량, 휴대용 무선 기계식 키보드입니다. (0) | 2021.02.13 |